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형자산의 정의와 회계처리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4. 10. 18.
반응형

1. 무형자산이란?

: 물리적 실체가 없지만 식별가능한 비화폐성자산

 

2. 무형자산의 종류

1) 영업권

-개별적으로 식별할 순 없으나 사업결합에서 획득한 그 밖의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을 나타내는 자산

- 눈으로 식별되지 않으나 기업이 입지조건이나 브랜드 충성도, 기술, 조직의 우수성 등에 의해 동종업계의 다른 기업들에 비해 초과수익력을 갖는 배타적 권리

- 법률적인 보호는 없으나 경영상의 유리한 관계 등 사회적 실질가치를 갖는 자산으로 흔히 '권리금'이라고 부르는 것

 

 

ㄴ영업권의 회계처리

- 자산 1,000 부채 500짜리 회사를 800에 인수 시

차) 자산 1,000 ㅣ 대) 현금 800

      영업권 300          부채 500

 

-자산 1,000 부채 500짜리 회사를 300에 인수 시

차) 자산 1,000 ㅣ 대) 부채 500

                                   현금 300

                                   염가매수차액 200

ㄴ'자산-부채'보다 더 큰 가격에 매매를 했다면 영업권으로 보고, 더 싸게 매입을 했다면 '염가매수차액'으로 본다.

 

 

2) 개발비

-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할 수 있으며, 미래 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은 자산

 

ㄴ기획,기초 연구 >> 연구단계
ㄴ 상업화, 시제품 >> 개발단계

ㄴ양산 >> 생산단계

 

 

3) 산업재산권

- 특허권

- 실용신안권

- 디자인권

- 상표권

- 라이선스

- 프렌차이즈

- 저작권

- 소프트웨어

 

3. 무형자산의 최초인식

유형자산과 동일하게 원가로 측정한다. 

(취득원가=구입가격 + 자산을 의도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잇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경우 다음의 원가를 자산으로 인식

1) 무형자산 창출에 사용되었거나 소비된 재료원가, 용역원가

2) 무형자산의 창출을 위하여 발생한 종업원급여

3) 법적 권리를 등록하기 위한 수수료

 

 

4. 무형자산의 상각

1)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

: 보통 실무에선 정액법으로 내용연수 동안 원가를 배분한다. 

차) 상각비 xxx   대) 무형자산 xxx

 

ㄴ***유형자산은 누계액으로 처리를 해줬는데, 무형자산의 경우 자산 자체를 상각한다. 

 

2) 내용연수가 비한정적인 무형자산

: 내용연수를 알 수 없으므로 상각하지 않으나, 매년 손상되지 않았는지는 검토한다. 

 

5. 무형자산의 제거

무형자산 처분이익, 무형자산처분손실로 처리한다. 

 

차) 현금 1100  ㅣ 댸)무형자산 800

                                 무형자산 처분이익 300

 

 

 

= 해당 포스팅은 아래 강의를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 개인적인 공부 내용으로 K-IFRS 와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강의] 무형자산의 정의와 회계처리 [쉬운회계원리 22강] (youtub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