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식과 측정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4. 11. 7.
반응형

감사를 받다보면 인식과 측정에서 항상 감사인과 의견이 갈린다. 

자산으로 인식했는데 자산의 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해서 비용으로 분류하자고 하거나, 

10만원만큼 올랐다고 측정했는데, 실제로는 5만원으로 측정된다고 하거나...

등등의 이슈로 감사인과 의견이 나뉘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식,측정의 개념을 좀 더 바로 잡아보려고 한다. 

 

1. 인식

어떤 거래가 발생했을 때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중 어떤 계정으로 인식을 할 것인가!

Ex.

"미래 경제적 효익이 없는 건데 자산으로 잡아도 되나요? 비용처리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이 기간부터 계약이 시작되었는데, 수익을 이때부터 인식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즉, 인식은 어떤 계정과목으로 인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2.측정

1) 최초측정

2) 후속측정

   ① 원가측정

   ② 공정가치 측정(EX.주식)

 

대부분의 자삭은 ①상각후 원가로 측정하는데, 일부 주식같은 자산은 ②공정가치로 측정한다. 

(측정방식은 IFRS를 따라야 하는 경우도 있고,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있음)

 

만약에 토지를 취득한 후에 후속적으로 ②공정가치 측정되어서 이 토지가 100만원이 올랐다면 100만원만큼 인식해줘야 한다. 

이때, 이를 당기손익(PL)으로 인식한다면 ▶ FVPL(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로 인식하는 것이고

이를 기타포괄손익(OCI)로 인식한다면 ▶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①원가로 측정하는 경우 어떠한 회계처리도 하지 않기 때문에 AC(상각후원가측정)는 후속측정의 이슈가 없다 .

 

 

 

 

결론적으로 인식은 계정과목(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의 이슈이고

측정은 얼마냐의 이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