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석작성4_유형자산(K-IFRS 1016호)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4. 11. 11.
반응형

유형자산의 주석은 기본적인 내용이기도 하고, 국고보조금이 없는 회사들, 설비가 복잡하지 않은 회사들의

유형자산 주석은 내용이 어렵지 않다.


1. 유형자산의 인식 : 취득 시점에 원가로 측정한다.(K-IFRS 1016호)

 

2. 최초 인식 후의 측정 

 

   1) 원가모형 :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평가

   2) 재평가모형 :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재평가일 이후의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평가

  • 재평가로 인해 장부금액(BV)이 증가한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OCI)로 인식하고, 재평가잉여금의 과목으로 자본에 가산한다. 이전 분기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재평가감소액이 있다면 이번 해의 재평가증가액만큼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 재평가로 인해 장부금액(BV)이 감소한 경우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이때 재평가잉여금의 잔액이 남아있다면 이만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다만 이때, '재평가잉여금' 과목으로 자본에 누계한 금액을 감소시킨다.  

즉, 재평가모형을 사용하는 경우 재평가 후 +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 -면 당기손익으로 인식해주는데,

기존에 재평가잔액이 남아있는 경우면 기존의 잔액을 상계시킨 후에 추가로 기타포괄손익 또는 당기손익을 인식해준다. 

 

※ 대부분의 회사는 원가모형을 따르고 있음. why? 연결FS를 만들 때 지배회사가 재평가모형을 따르면 피지배회사들도 모회사의 회계정책을 동일하게 따라야 하기 때문에 너~무 복잡해짐. 그래서 대부분은 원가모형을 적용한다.

 

 

 

3. 정부보조금 (K-IFRS 1020호)

1) 유형자산 취득 시, 정부보조금이 있는 경우 보통은 관련비용에서 보조금을 차감한다. 

 

   ① 이연수익으로 표시

  • 취득시 
  • 차) 기계장치 10,000 ㅣ 대) 현금 10,000
  • 차) 현금 2,000 ㅣ 대) 이연수익 2,000

 

  • 감가상각시
  • 차) 감가상각비 1,000ㅣ 대) 감가상각누계액 1,000
  • 차) 이연수익 200 ㅣ 대) 기타수익 200

 

   ② 관련 자산에서 차감하여 표시

  • 취득시
  • 차) 기계장치 10,000 ㅣ 대) 현금 10,000
  • 차) 현금 2,000 ㅣ 대) 국고보조금 2,000(기계장치 차감)

 

  • 감가상각시
  • 차) 감가상각비 1,000 ㅣ 대) 감가상각누계액 1,000
  • 차) 국고보조금 200(기계장치 차감) ㅣ 대) 감가상각비 200

 

 

4. 건설중인자산_ 자본화차입원가(K-IFRS 1023호)

K-IFRS에 따르면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생산과 관련한 차입원가(이자)는 비용처리하지 않고 자산원가에 가산하도록 규정한다.   건물을 짓는 중 대출을 받았다면, 대출이자가 있을 것이다. 이는 자산을 취득하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이자이기 때문에 이자비용으로 인식하지 말고, 자산으로 인식해서 자산에서 차감시켜줘라~라는 것이다. 

 

>차입원가(이자) 발생

차) 이자비용 100 ㅣ 대) 현금 100

>차입원가의 자본화(건설중인 자산)

차) 건설중인 자산 100 ㅣ 대) 이자비용 100

>유형자산의 완성

차) 유형자산 100 ㅣ 대) 건설중인 자산 100

 

4-1. 자본화 차입원가 조건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차입원가의 자본화 기간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이다. 보통은 건설 착수시점~건설 완료시점까지로 본다. (개발활동을 중단한 경우에는 차입원가의 자본화 역시 중단한다.)

 

>차입원가 자본화의 조건

1) 적격자산에 대해 지출한 경우

2) 차입원가가 발생한 경우

3) 적격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또는 판매)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활동을 수행한 경우

 

 

 

 

4-2. 차입원가 자본화 금액 계산하기

=특정차입금 이자+ 일반차입금 이자의 평균

 

※특정차입금 : 어떤 자산을 건설,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빌린 돈

※일반차입금 : 기업 운영을 위해 일반적인 목적으로 빌린 돈

 

예를 들어 특정차입금을 80,000원 빌렸는데 이자가 10%여서 8,000원의 연이자비용이 발생하였고

일반차입금 100,000원(이자율8%), 150,000원(이자율 8%)이 발생했다면, 아래와 같이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구한다.

 

자본화이자율 = 이자비용(8,000+12,000) / 일반차입금(100,000+150,000) = 8%

자본화가능차입원가 = 20,000(일반차입금 이자)*8% = 1,600원

 

회계기간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의 금액= 특정차입금(8,000원)+자본화가능차입원가(1,600원)=9,600원

 

 

 

4-3. 차입원가 자본화 주석공시 사항

 - 회계기간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의 금액 : 9,600원

 -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자본화이자율 : 8%

 

 

 

=참고 서적 출처 : K-IFRS 주석 작성실무 P.66~73/ 저자 : 윤현택 저 / 출판사 : 조세통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