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
아무도 모르는 일이지만, 과거의 데이터에 빗대어 봤을 때 장기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들은 있다.
1.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해제로 인해 집값이 올랐다고 하는데, 1차원적인 생각일 뿐이다.
해제하기 전에도 올랐던 곳이기 때문에 토허제 해제로 인해 집값이 오른 건 아니다.
2. 떨어질 이슈가 없다.
- 자재값 등으로 분양가 떨어질 일이 없다.
- 전월세 수요 증가로 집값이 오를 것이다.
- 금리 인하
- 대출규제 지속적으로 막을 것이다.
- 서울 내 공급지역 적을 것이다.
- 저성장이지 소비침체는 아니다.
3. 2의 이슈 때문에 싸게 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진 않는다.
4. 지금까지의 이연수요들이 점차 집을 살 것이다.
5. 대출규제가 심해질수록 살 수 있는 집의 위치를 내릴 것이다.
6. 이미 상급지는 고점을 돌파 했다. 중하급지(노도강)은 고점 회복 전
상급지가 이미 고점을 회복했기 때문에 중하급지도 곧 돌파할 것. 시간의 차이일 뿐
지금 봐야 하는 건 외곽에 20% 빠진 곳을 봐야할 것
집값 가격 상승의 원인은 '전월세',, 전월세가 집값을 끌어올릴 것이다.
7. 추격매수를 주의하기. 지금은 이런 시장이 아니다.
8. 지금 봐야 하는 건 외곽에 20% 빠진 곳을 봐야할 것(상급지는 이미 오름)
9. 신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분양가가 빠질 가능성이 낮다.
즉, 신축선호 현상으로 분양가는 높아지고 전월세 상승으로 매매가는 더욱 올라갈 것
"대한민국이 변하고 있다" 올해 집값 이렇게 됩니다 [윤지해 위원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