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미래.. IMF는 아무것도 아니다?..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5. 3. 17.
반응형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점점 하락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196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9.5%

대한민국은 197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10.5%

대한민국은 198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8.88%

대한민국은 199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9.9%

대한민국은 200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4.92%

대한민국은 201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3.33%

대한민국은 202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지난 4분기 동안의 성장은 0.2%에 멈췄다. 

 

즉, 현재의 대한민국 경제성장은 더 심각하다. 중국의 경우 백화점, 건설사가 도산하고 부동산이 파산했는데, 지금의 한국도 중국과 다를 바 없다. 

 

▶분양가보다 떨어진 파주 운정

예를 들어, 최근 GTX가 들어선 운정역이다. 파주 운정역에 GTX가 들어섰는데, 정작 개통 후에는 분양 받을 때보다 하락거래가 더 많이 늘어나고 있다. GTX 호재가 분양 시 이미 가격이 너무 과하게 반영됐기 때문에 오히려 개통 후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보인 것이다. 

 

▶인구 감소

 부동산 시장의 과열과 하락 요인 부동산 사줄 인구의 감소이다. 인구 감소가 시작되고 있는 일본을 보면 2023년 말 기준, 

일본 도쿄 인근 도시 빈집은 820만 채 중 89만태 이상, 일본 지방은 900만채 이상이다. 부동산 버블 때 지어진 집들이 현재 빈집으로 이어지고 있다. 필요한 곳에 있는 집이 아닌 여기저기 지어진 부동산은 위험하다. 

 

현재 아파트 시장을 보면, 20~21년과 현재를 비교했을 때 6억원 이하의 집은 7.9%까지 내려갔다가 현재는 15%대까지 다시 올라왔다. 그러나, 15~50억원 대의 아파트 시장을 보면 20~21년 시 29.7%까지 오르긴 했으나 현재는 27%로 실제 하락률은 6억에 비해 크지 않다. 심지어 50억원 초과하는 아파트는 오히려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인해 '서울 아파트는 오른다'는 인식이 심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서울 아파트에 배팅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특정 지역의 아파트 가격만 오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역시 실제 매매거래는 적으며 현재 매물이 9만개 정도 있는 서울에서 매물이 10만개가 된다면 부동산 가격 하락은 시작될 것이다.

 

초양극화는 위험하며, 심리적 요소가 작용해 단기간에 줄이기는 굉장히 어렵다. 

 

 

 

▶ 미분양의 증가

서울 미분양 주택은 15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를 찍게 된다. 

똘똘한 한채, 얼죽신의 열풍이 점점 식어가며 서울의 미분양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미분양이 늘어난 이유?

1) 대출이 쉽지 않음

2) 경기불안, 성장 둔화로 매수심리 위축

3) 고분양가 

 

*그러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해 집값이 조금씩 들썩이고 있기는 하다. 

 

 

 

결론, 부동산 사는 것은 좋지만 앞으로 오를 것이지만 저평가 되어 있는 곳을 사야 한다. 

너무 비싸게 또는 과도한 빚을 내서 사지 말라.

 

ㅎㅎ..당연한 말이긴 하지만,, 거주 목적으로 집을 사더라도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메세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해당 포스팅은 아래 영상을 개인적인 견해와 같이 정리한 내용입니다. =

(비상!) 'IMF는 아무것도 아니었어ㅠ' 줄탄식 터지고 있다.(3월 첫째 주 몰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