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토허제 재지정_25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너나위)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5. 3. 25.
반응형

속보🚨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풀렸던 한 달 동안 역대급 집값 폭등.. 도대체 2025년 부동산 시장 어떻게 될까? (구해줘월부 부동산상담)

 

 

최근 여러 차례의 상승과 하락기를 겪고난 후의 의미있는 패턴은 상승기 상승분보다 하락기에 하락한 폭이 점점 작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상승과 하락의 기간이 짧아 진다. 

 

규제 완화, 개시를 반복하면서 이를 학습한 시장 참여자들은 시장의 흐름에 적응하고 있다. 완화 시 집값이 오른다는 패턴을 기억하고, 규제 완화 효과를 기대하고 시장에 바로 뛰어드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매매하는 것이 유리해지는 상황이 되어버림

 

이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영등포 :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하는 상태. 영등포는 서울의 평균이라 생각하면 된다. 서울 대부분의 아파트가 전고점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태

 

강남구 : 전고점 회복

 

구로구 : 하락 진행 

 

-27년 3천5백~4천만명 인구라고 친다고 해도 서울 수도권의 아파트는 계속 부족할 것이다. 구로구 역시 시기의 차이일 뿐 장기적으로는 오를 것이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내집마련은 항상 잘한 선택이었다.

-서울의 많은 아파트들이 아직은 저렴하다. 

- 전세만 고집한 대가는 현재의 전세가가 과거의 매매가가 된다. 

- 무주택자의 경우, 거주만족+감당 가능하다면 가장 입지 우수한 것을 골라 매매(단기간 급등락 고려하기 보다는 길게 보고 매수)

- 1주택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현상 유지. 

 


 

 

1. 영등포구가 서울평균이라 생각하고 보면 됨
2. 현재 서울 대부분(강남3구 제외)은 많이 하락한 편이다. 
3. 무주택자라면 거주만족+감당가능한 수준에서 입지가 우수한 것을 골라 매매 > 장기적으로 인구감소 되더라도 서울의 수요는 유지될 것
4. 규제 개시, 완화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하락/상승 패턴이 점점 짧아짐=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내집 마련을 한다면 규제 완화장에는 빠르게 오를 것

5.매물이 많은 상황이 8~9개월 정도 지속되면 매매가는 하락할 것(현재 기준 6개월 차)


===
공통적으로 거주만족도가 있으면 입지 우수한 곳에 사라는 입장은 대부분의 의견인 것 같다. 

근데 지금 거래량이 적은 상황에서 이러한 상승, 완화 패턴을 시장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을지가 궁금

 

 

 

 

=위 포스팅은 아래의 영상을 보고 개인적인 의견 기재 및 정리하였습니다=

 

(2) 속보🚨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풀렸던 한 달 동안 역대급 집값 폭등.. 도대체 2025년 부동산 시장 어떻게 될까? (구해줘월부 부동산상담) - YouTub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