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자산4] 투자지분상품_FVPL의 인식과 제거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4. 12. 28.
반응형

아래의 예시를 통해 투자지분상품 중 FVPL의 회계처리를 알아보자.

물음)12월말 결산법인인 A회사는 20X0년 12월 31일 단기간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B회사 주식 100주(주당 액면가액 1000원)를 200,000원에 취득하였다. 취득시 거래원가로 10,000원을 현금 지급하였다.

다음은 20X1년 유가증권 관련 자료이다.

(1) 3월10일 B회사는 주당 10%의 현금배당을 결의하였으며, 3월31일에 이를 지급하였다. 8월1일 B회사가 25%의 무상증자를 결의하였으며, 이로 인해 무상주를 수령하였다.

(2) 9.16일 B회사의 주식 중 50주를 주당 2,500원에 처분하였으며, 처분수수료 5,000원을 지급하였다. 12.31일 B회사의 주식 중 1주당 주가는 2,200원이며 처분을 가정하는 경우 예상되는 거래원가는 3,000원이다.

20X0.12.31

(차) 당기손인인식금융자산 200,000 ㅣ (대) 현금 210,000

수수료비용 10,000

20X1 3.10

(차) 미수배당금 10,000 ㅣ (대) 배당금수익 10,000

ㄴ 100주 X 1000원 X10%

20X1 3.31

(차) 현금 10,000 ㅣ (대) 미수배당금 10,000

20X1.8.1

= 회계처리 없음=

회계처리는 없으나 25% 무상증자를 실시하면서 25주(100주*25%)를 더 얻는 것이다.

25주를 더 얻으면서 한주당 액면가액은 200,000/125주=1,600원으로 낮아지게된다.

(주주들은 이래서 무상증자를 좋아함)

20X1 9.16

(차)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45,000 ㅣ (대)금융자산 평가이익 45,000

ㄴ(50주*2,500원)-(50주*1600원)

>>125중 처분할 50주만 먼저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FVPL)금액을 업데이트 해준다.(=평가해준다)

이때 상대계정은 금융자산 평가이익으로 사용!

(차)현금 120,000 ㅣ ( 대)당기손인인식금융자산 125,000

금융자산 처분손실 5,000

ㄴ 50주* 2,500원 - 5,000원(수수료)

>> 처분할 50주에 대해서 평가를 해준다.

지분상품 FVPL의 경우 취득시 발생하는 거래원가는 당기비용으로 인식하나, (=금융자산처분손실)

제거 시 발생하는 처분원가는 수취한 대가에서 차감한다.(=금융자산 처분손실로 차감)

20X1.12.31

(차)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45,000 ㅣ (대) 금융자산평가이익 45,000

ㄴ2,200원*75주 - 1,600원*75주

1. FVPL의 최초인식과 후속측정

FVPL의 최초인식과 후속측정은 모두 공정가치로 재측정을 수행하며,

재측정에 따른 미실현보유손익은 PL에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취득원가는 비용으로 인식)

*** 지분상품 보유기간 중에 배당금을 현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배당을 주식으로 수령한 경우에는 관련된 회계처리가 없다.***

2. FVPL의 제거

제거일의 공정가치로 해당 금융자산을 재측정하여 관련 손익은 모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평가손익)

수취한 대가와 제거일에 재측정된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의 차이를 추가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매각손익)

즉, 평가손익과 매각손익을 모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처분원가는 금융자산처분손실로 처리한다(취득원가는 비용이지만 처분원가는 수취대가에서 차감)

(그러나, 보통 처분대가는 공정가치와 동일한 금액이기 때문에 추가 인식할 당기손익은 보통 없다.= 매각손익은 없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금융자산1] 금융자산의 분류(AC,FVOCI,FVPL)

 [금융자산2 ] 투자지분상품( FVPL, FVOCI)

 [금융자산3] 투자지분상품( FVPL, FVOCI)

[금융자산4] 투자지분상품_FVPL의 인식과 제거 

 

=위 포스팅은 개인적인 공부 목적으로 쓴 글이므로 기준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IFRS 중급회계(2024)_p.13-23~24 /저자 : 김기동, 김태동 / 출판: 샘앤북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