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자산3] 투자지분상품( FVPL, FVOCI)

by 천천히 꾸준히 인생 바꾸기 2024. 12. 22.
반응형

금융자산은 크게 두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다.

자본의 성격이라면 지분상품으로 분류하고 / 부채의 성격이라면 채무상품으로 분류한다.

  • 투자채무상품 : 채권(은행예치금, 매출채권, 미수금, 대여금, 회사채, 국공채)
  • 투자지분상품 : 주식(상장주식, 비상장주식, 주식전환옵션, 주식인수옵션)

A회사가 투자를 하였고, B회사가 투자를 받았다고 가정하는 경우,

A회사의 입장에서 투자채무상품, 투자지분상품은 모두 자산이 되지만 B회사의 입장에서 투자채무상품은 부채가 되는 것이고, 투자지분상품은 자본으로 분류 된다.

POINT : 투자금융자산은 어떤 회사 입장이냐에 따라 자산이 되기도, 자본 or 부채가 되기도 한다.


금융자산을 성격에 따라 나누자면 지분상품과 채무상품으로 나누지만,

아래 3개의 계정으로 분류한다.

즉, 보유 목적에 따라 금융자산을 아래 3가지로 나누는 것이다.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투자금융자산
상각후 원가측정 금융자산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인식 금융자산
투자채무상품
상각후 원가측정 금융자산(AC)
당기손익 인식 금융자산(FVPL)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FVOCI)
투자지분상품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FVPL)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FVOCI)

※상각 후 원가측정 금융자산은 유효이자율법으로 계산하여 투자지분상품(주식)에는 적용될 수 없기에

투자지분상품에는 상각후 원가측정 금융자산이 없다.

기본적으로 투자지분상품은 모두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FVPL)로 구분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단기매매 이외의 목적으로 취득한 지분상품 중 기업의 지분을 획득하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FVOCI) 로 분류할 수 았다.

즉, 투자지분상품의 경우 단기매매의 목적이라면 FVPL로 분류하는 것이 원칙이고,

단기매매 목적이 아니라면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FVOCI)로 분류해준다.

투자지분상품(FVPL, FVOCI)

 

1)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FVPL)

: 원리금을 수취할 목적 없이 중간에 파는 것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이다.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중간에 발생하는 손익은 미실현 되었더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 거래원가는 지출시점에 즉시 비용으로 인식

(차)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FVPL) 100 (대) 현금 110

거래원가(수수료) 10

1) 최초인식(취득 시)

(차) FVPL xxx ㅣ (대) 현금

거래원가(수수료) xxx

2) 후속측정 ( 공정가치로 평가, 미실현손익은 당기손익에 반영 )

  • 평가이익이 난 경우

(차) FVPL xxx ㅣ (대)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평가이익 xxx

  • 평가손실이 난 경우

(차)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평가손실 xxx ㅣ (대) FVPL xxx

3) 처분 시(처분대가와 직전 장부가액을 비교)

  • 더 높은 금액을 수령한 경우

(차) 현금 xxx l (대)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 처분이익 xxx

FVPL xxx

  • 더 낮은 금액을 수령항 경우

(차) 현금 xxx l (대) FVPL xxx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 처분손실 xxx

 

ㄴ FVPL의 최초인식과 제거처리가 궁금하다면 이 포스팅을 확인하세요~

2)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FVOCI)

: 원리금 수취 및 매도의 목적까지 같이 갖고 있는 자산이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되, 중간에 발생하는

미실현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미실현손익이 실현되면,

채무상품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조정하고

지분상품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한다.

중요!))채무상품은 당기손익으로 PL에 한번 갔다가 BS로 분류되지만, 지분상품은 바로 BS로 인식되면서 자본계정

에서만 조정된다.

예를들어, 삼성이 가지고 있는 지분상품 중 FVOCI로 분류되는 자산은 계열사의 주식이 대부분이다. 이는 삼성이

계열사들의 지분을 어쩔 수 없이 갖고 있어야 해서 갖고 있는 것이므로 매도를 목적으로 들고 있는 것이 아니다.

(매도목적의 지분상품이라면 FVPL으로 분류될 것) 이런 경우엔 FVOCI로 분류하게 된다.

 

 

1) 최초인식(취득 시)

(차) FVOCI xxx ㅣ (대) 현금 xxx

2) 후속측정 ( 공정가치로 평가, 미실현손익은 기타포괄손익에 반영 )

  • 가치상승

(차) FVOCI xxx ㅣ (대) 기타포괄손익평가이익 xxx

  • 가치상승 했는데, 기존에 손실이 난 경우, 기존의 손실을 없애준 후에 다시 이익을 인식한다.

(차) FVOCI xxx ㅣ (대) 기타포괄손익평가손실 xxx

기타포괄손익평가손익 xxx

  • 가치하락

(차) 기타포괄손익평가손실 xxx ㅣ (대) FVOCI xxx

3) 처분 시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대체한다)

  • 기타포괄이익이 남는 경우

(차) 기타포괄손익 평가이익 xxx ㅣ (대) 미처분이익잉여금 xxx

  • 기타포괄손실이 남는 경우

(차)미처분이익잉여금 xxx ㅣ (대) 기타포괄손익 평가손실 xxx

결국, 지분상품의 기타포괄손익인식 금융자산은 당기손익으로 한번도 가지않고(=PL로 한번도 가지 않고) 이익잉여금으로 반영됨으로써 BS에서만 움직인다.

 

 

 

현금수령의 회계처리

투자상품을 보유한 경우, 이자와 배당이라는 현금을 수령할 수 있는데

이자수익은 채권투자에 대한 대가이고 / 배당금은 지분투자에 대한 대가

  • 이자수익(채무상품인 경우)

(차) 현금 xxx l (대) 이자수익 xxx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xxx

피투자회사(B회사)의 회계처리

(차) 이자비용 xxx l (대) 현금 xxx

사채할인발행차금 xxx

  • 배당금수익(지분상품인 경우)

투자회사(A회사)의 회계처리

(차) 미수금 xxx l (대) 배당금수익 xxx

피투자회사(B회사)의 회계처리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xxx l (대) 미지급금 xxx

 

투자지분상품(주식) 의 FVPL과 FVOCI를 보기 전에 먼저 이 개념을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

FVPL은 당기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하는 주식이기 때문에 오르고 내리는 투자성과를 당기손익으로 PL에 기재해줘야 한다. 당기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했으니, 경영성과의 일부로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투자지분상품(주식)의 FVOCI는 당기시세차익이 아닌 지분율을 목적으로 취득하는 주식이다. 그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의 흐름을 중요하지 않고 투자한 회사의 지분율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PL이 아닌 BS로 바로 가게된다.

(채무상품 FVOCI의 경우엔 PL에서 먼저 기포손익으로 분류해준 후에 BS의 이익잉여금으로 재분류 해준다.)

1.최초인식과 공정가치 재측정

FVPL→ 최초인식은 공정가치이나, 재측정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

FVOCI → 최초인식은 공정가치이나, 재측정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2. 거래원가(취득시)

FVPL : 별도 비용으로 인식

FVOCI : 최초의 공정가치에 가산

3. 거래원가(처분시)

FVPL : 처분대가에서 차감하여 순액으로 인식

FVOCI : 당기손익으로 인식

4. 현금배당 수령 시

FVPL, FVOCI : 당기손익으로 인식

5. 주식으로 배당 수령 시

FVPL, FVOCI : 회계처리 없음

 

지금까지 투자지분상품 중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시 한번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은 쉽게 이해해보자면 주식 단타성 항목이다. 그러기 때문에 기업이 주식 단타를 얼마나 잘 쳤냐가 기업의 PL에 금융자산 평가이익과 금융자산 평가손실로 반영이된다.

그러나, 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의 경우 투자한 회사의 지분을 갖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투자한 회사가 평가손실이 나든, 이익이 나든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중간 중간에 평가손실(or 이익)이 난다면 기존에 있는 평가이익(or 손실) 계정과 상계 후 누적으로 회계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처분 시에는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계정대체를 진행하면서 PL 항목에 반영하지 않고 바로 BS 항목으로 반영하게 된다.

다음 시간에는 투자채무상품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 함께 보면 좋을 글

 

​함께 보면 좋은 글

[금융자산1] 금융자산의 분류(AC,FVOCI,FVPL)

 [금융자산2 ] 투자지분상품( FVPL, FVOCI)

 [금융자산3] 투자지분상품( FVPL, FVOCI)

[금융자산4] 투자지분상품_FVPL의 인식과 제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