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6 [내집 마련] 내 능력에 맞는 집값 계산하기 무리한 대출의 기준●세후 소득의 30년 원리금 상환 기준 30% 이하(ex. 세후 월 소득 1.000만원 이라면 30년 원리금 상환 기준 월 3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연봉의 10배가 투자의 멕시멈(10가 최대치이니 무리하지 말 것) ㄴ 이유: 동네 소득수준을 내가 못 따라 갈 수 있음 대출 받는 경우(실거주 하는 경우)1. 일반 주택담보대출2. 신생아 특례대출 ▷ 하지만 모아둔 자산과 소득이 높아서 더 높은 것을 살 수 있다면 신생아 특례를 포기하고 9억 이상의 아파트를 살 것 대출 받는 경우(갭투자)1. 주택담보대출 후순위 ▷ 은행 별로 후순위대출을 안해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은행 투어를 할 것 ▷ 주담대를 많이 받으면 세입자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세대로 전세를 맞추려면 집값의 .. 2025. 4. 13. 토허제 재지정_25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너나위) 속보🚨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풀렸던 한 달 동안 역대급 집값 폭등.. 도대체 2025년 부동산 시장 어떻게 될까? (구해줘월부 부동산상담) 최근 여러 차례의 상승과 하락기를 겪고난 후의 의미있는 패턴은 상승기 상승분보다 하락기에 하락한 폭이 점점 작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상승과 하락의 기간이 짧아 진다. 규제 완화, 개시를 반복하면서 이를 학습한 시장 참여자들은 시장의 흐름에 적응하고 있다. 완화 시 집값이 오른다는 패턴을 기억하고, 규제 완화 효과를 기대하고 시장에 바로 뛰어드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매매하는 것이 유리해지는 상황이 되어버림 이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영등포 :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하는 상태. 영등포는 서울의 평균이라 생각.. 2025. 3. 25. 현 시점 부동산 산다 vs 안 산다 하락론자 - 장기적으로 우하향한다. - 전반적으로 하락세에 있다. - 강남 지역의 상승은 호가일 뿐이다. 거래량이 많지 않다 . 시장가로 보기엔 현재는 호가일 뿐이다. 수요가 없는 가격상승은 하락 가능성이 크다.- 25년 상반기로 갈수록 거래량이 줄어들고 하반기로 갈수록 하락폭은 커질 것이다.- 내 집 마련을 하되, 집값이 떨어지는 시기를 맞추려 하지 말고 '조건과 기회'를 잡아야 한다.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증가할 때를 노려라. 상승론자 -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한다. - 지역에 따라 장기적 상향/하향 다를 것이다. - 호가가 올랐음에도 거래량은 늘 증가해왔다. 지방의 줄어든 수요는 서울로 오고 있어 서울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강남 3구 집값 상승에 따라 주변 지역도 같이 .. 2025. 3. 23. 미분양 뉴스 올바르게 보기_너나위 1. 서울의 경우 1천5백호 이상의 미분양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침체기가 된다. 25.03월 기준 1만5천호가 넘은지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좀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그러나, 현재 서울은 착공/분양/입주 감소로 미분양이 누적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더군다가 신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이 시기에 미분양이 더 지속될까 싶긴 하다. 미분양 관련 뉴스롤 볼 때 주의해야 할 것!수도권 미분양이 늘었다고 해서, 수도권 전체가 좋지 않다고 오판하지 말 것! 2. 현재 미분양이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가능성도 같이 봐야 한다. 앞으로 3~5년 간 분양 후 착공, 입주의 물건들이 있을지 같이 확인해야 현재의 침체기가 계속될 것인지 잠시 잠깐의 상황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집값과 미.. 2025. 3. 20.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미래.. IMF는 아무것도 아니다?..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점점 하락하고 있다....대한민국은 196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9.5%대한민국은 197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10.5%대한민국은 198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8.88%대한민국은 199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9.9%대한민국은 200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4.92%대한민국은 201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3.33%대한민국은 2020년대 평균 경제성장률은.. 지난 4분기 동안의 성장은 0.2%에 멈췄다. 즉, 현재의 대한민국 경제성장은 더 심각하다. 중국의 경우 백화점, 건설사가 도산하고 부동산이 파산했는데, 지금의 한국도 중국과 다를 바 없다. ▶분양가보다 떨어진 파주 운정예를 들어, 최근 GTX가 들어선 운정역이다. 파주 운정역에 GTX가 들어섰는데, 정작 개통 후에는.. 2025. 3. 17. 25년 하반기 집값은 어떻게 될까?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아무도 모르는 일이지만, 과거의 데이터에 빗대어 봤을 때 장기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들은 있다. 1.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해제로 인해 집값이 올랐다고 하는데, 1차원적인 생각일 뿐이다. 해제하기 전에도 올랐던 곳이기 때문에 토허제 해제로 인해 집값이 오른 건 아니다. 2. 떨어질 이슈가 없다. - 자재값 등으로 분양가 떨어질 일이 없다.- 전월세 수요 증가로 집값이 오를 것이다.- 금리 인하 - 대출규제 지속적으로 막을 것이다.- 서울 내 공급지역 적을 것이다. - 저성장이지 소비침체는 아니다. 3. 2의 이슈 때문에 싸게 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진 않는다. 4. 지금까지의 이연수요들이 점차 집을 살 것이다. 5. 대출규제가 심해질수록 살 수 있는 집의 위.. 2025. 3. 12.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