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법인세_손금의 이해 1차_ (손금 쉽게 이해하기) 법인세는 당기순이익에서 세무조정을 거쳐서(익금산입, 손금산입, 익금불산입, 손금불산입)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을 구한다. 익금항목은 저번시간에 공부를 하였고,이번에는 손금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손금1. 순자산 감소의 거래(자산의 감소든 부채의 증가든 순자산=자본을 감소시키는 것)2. 손실 또는 비용+  단, 자본,출자 환급 제외 (주주와의 거래는 손금으로 보지 않는다.) 손금은 '비용배분의 원칙'을 따라서, 손금이라고 무조건 비용처리 되지 않는다. 손금이라고 무조건 비용처리 되는 것이 아니라 자산 or 비용 or 사외유출로 처리 된다.  자산의 감가상각 중 건물의 경우 매년 일정금액 감가상각 하다가 처분 시 남은 감가잔액을 비용 처분한다. 그러나, 토지는 비상각 자산이기 때문에 매년 감가를 진행.. 2025. 1. 19.
[주석작성] 법인세 (이연법인세자산, 이연법인세 부채 쉽게 이해하기) 법인세 ㅣ 미지급법인세ㄴ이렇게 끝나면 좋겠지만, 이연법인세로 인해 이렇게 간단히 끝나지 않으니 법인세가 어려운 것 같다.  당신의 회사는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 중 어떤 계정이 남아있나?이연법인세자산이 있다는 것은 앞으로 낼 세금이 있다는거고, 이연법인세부채가 있다는 것은 앞으로의 미래가 어두우니앞으로 낼 세금이 없다는 것으로 간단히 이해해보고 시작하자.  회계는 발생주의기 때문에 발생한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데, 세법은 현금주의기 때문에 실제 현금이 나가고 들어올 때 수익과 비용을 인식한다. 이 차이 때문에 '손금불산입/손금산입 or 익금불산입/익금산입'의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회계에서는 인정 받을 수 있는 수익과 비용도 법인세를 낼 때 세법에서는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2024. 12. 30.
[금융자산4] 투자지분상품_FVPL의 인식과 제거 아래의 예시를 통해 투자지분상품 중 FVPL의 회계처리를 알아보자. ​물음)12월말 결산법인인 A회사는 20X0년 12월 31일 단기간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B회사 주식 100주(주당 액면가액 1000원)를 200,000원에 취득하였다. 취득시 거래원가로 10,000원을 현금 지급하였다. 다음은 20X1년 유가증권 관련 자료이다. ​(1) 3월10일 B회사는 주당 10%의 현금배당을 결의하였으며, 3월31일에 이를 지급하였다. 8월1일 B회사가 25%의 무상증자를 결의하였으며, 이로 인해 무상주를 수령하였다. ​(2) 9.16일 B회사의 주식 중 50주를 주당 2,500원에 처분하였으며, 처분수수료 5,000원을 지급하였다. 12.31일 B회사의 주식 중 1주당 주가는 2,200원이며 처분을 가정하는 경.. 2024. 12. 28.
현 시장에서 아파트 사야할까? 말아야 할까?(w. 월급쟁이 부자들) 한국의 경제적인 상황과 더불어, 정치적인 리스크까지 더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은 STOP상태이다. 매물은 쌓여만가고, 서울 경매건수는 9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한다.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서 집을 사는 것은 사실 쉽지 않은 선택이다. 앞으로 더 떨어질 것 같기 때문에 전월세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선택을 하게 되는 것 같다.  하락장이 시작된다는 얘기가 돌면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게 되는 것 같다.  -하락장이 시작됐다. 이제 부동산 투자는 끝났다.  -하락장이 시작됐다. 지금이 기회다.  사실 나는 후자쪽으로 생각하고 있긴 하지만, 사실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소비를 치루는 것이라 선뜻 다가서기가 힘들긴 하다.. 그러기 위해선 내 소득과 자산 수준에 맞는 작은 거래부터 시작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2024. 12. 27.
지분법 회계처리 지분법 : 20% 이상 ~50% 미만 출자한 A회사의 순이익을 보유 지분만큼 B회사의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제도출처 : 지분법 (naver.com)  만약 A기업이 올해 100원만큼 이익을 냈고, B기업은 A기업의 30%만큼 지분을 갖고 있다면A기업의 재무제표에는 30원 만큼의 아래와 같이 회계처리가 처리되어야 한다. ​​취득 시 ) (차) 관계기업 투자주식 : 30 ㅣ (대) 현금 30​*B회사가 NI 100원 인식 시>> (차) 관계기업 투자주식 30 ㅣ (대) 지분법 이익(당기손익) 30ㄴ B회사가 수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면 A기업 역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B회사가 배당줄 수 있다면 A회사도 배당 줄 수 있는 계정과목으로 인식한다.)​*B회사가 OCI 100원 인식 시 >> (차) 관계기업.. 2024. 12. 27.
[자본1] 자본이란?_유상증자와 무상증자(w. 감자) 자산= 부채+자본​여기서, 자본은 크게 자기자본 / 잔여지분/ 주주지분으로 나뉘게 된다. ​자기자본 : 내가 갖고 있는 돈잔여지분 : 자산- 부채 차액주주지분 : 주주들이 들고 있는 돈​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자본은 주주와의 거래를 통한 '자본거래' 또는상품 판매, 투자 등의 자본거래를 제외한 나머지 거래를 통한 '손익거래'의 성격을 띠게 된다. ​자본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먼저, 자본거래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1) 자본금 : 주주가 납입한 자본(=액면가액 x 발행주식 수)2) 자본잉여금 : 증자, 감자 통해서 자본을 증가시키는 잉여금3) 자본조정 : 자본거래이기는 하나(=주주와의 거래), 납입자본이 아니거나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이 아닌 항목​보통 자본잉여금은 자본조정을 통해서 처리를 한다... 2024. 12. 26.